Sculpture Seen and Used
September 2009 
Wirtten by Park Young-Taek, Art Critic and Professor at Gyeonggi University


     The material that is used in sculpture is inevitably something that actually exists in the world. It has a concrete and solid structure and system. The physical nature of each object determines its identity and basic qualities. That is to say, sculpture is first and foremost, understanding this physical and basic nature of the object before the consideration of a formal creation. It is about becoming one with the material, aspiring for communion and union with it, and guilelessly becoming engaged with the material. One can also say that it is an act of completel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entity, its material, and constant efforts to get closer to a merging with the material at hand.

     Sculptors are people who co-inhabit with the material in front of them and actualize their visions by way of it. They scrutinize the material and converse with it, and disclose its hidden quality by catalyzing it. It is the sculptor who bares its essence at a decisive moment and elaborates on its original façade. It is truly an act of getting to know another entity, the other, so to speak, a different world,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nd acknowledging it. As though he is constructing a stone stupa, Oh Kwang-Seop creates a form that is in harmony with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material. In a gradual process of piling one stone on top of the other, as in building a stupa, he abides by the natural progression of work. It’s not like he had a stone pagoda in mind when he started out, but in the course of mounting the stones he also piles his thoughts that accumulate, and he then gradually discloses them through some kind of a shape. Hence, in his work, one finds that different pieces accrue and connect with each other to become what could be described as the “sculpture of addition.” On top of a thought is layered another thought, next to a reflection is another reflection; all the chain of imaginations and daydreams are edited, which in the end becomes a montage. While lovingly exploring his material, the sculptor allows himself his chain of thoughts and imagination to be in full charge and they in turn proliferate and expand on their own. The mind, subconscious and conscious, flows together in the same vein. They cross each other in a space-time continuum where the present and the past coexist, where the memories of the past and the emotions of the present, all life beings and things intermix without any restriction. It is a different realm from the one that we are accustomed to. It is the world of reality, yet it transcends the boundary of reality, a bizarre vision of a different dimension. Many faces are derived from a single face on which the inner self is layered over the physical face; thereby depicting multi-layers of the artist’s conscious and unconscious.

     Oh Kwang-Seop’s recent work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stone and bronze. His fountain projects are public art and the image projects are the outcome of his daily observations and dreams. What connects the former to the latter are the memories of his childhood and nature. His works appear to have little to do with the recent trends and issues found in contemporary art, or sculptural patterns, and thirst for different expression. Instead, he focuses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and polished methods, with a labor of devotion, and also depicts images that have to do with his life and his consciousness. The images come to life after hours of absorption and labor with the material. The artist states the fundamental prerequisites for art that moves people are utter devotion to his art and all the time dedicated to it. In particular, the memories of nature and his childhood seem to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his work. The impressions he received from nature as a child became the driving force in his endeavor as a sculptor to dig from the sedimentation of all his memories and recollections, and thus to transform them into sculpture. The stories and the visual delight that are offered by his sculptural works are all inspired by his remembrances of childhood, as well as recollections of his experience with nature. Therefore, his time spent in nature can only be deemed as a true blessing for him. In fact, it can be said that childhood is where everyone’s kingdom of imagination lies.

     The two large fountains, which are made from stone, are built in a very intricate way. Retaining the voluptuous volume of the stone, they are delicately interlinked and result in a complex structure, giving it the look of an architectural model. Each of the pieces, which are marble, are bound to each other in a method that is found in traditional Korean wooden architecture or furniture, by which different pieces are connected without the use of nails but in a holistic and non-invasive method. The fluid streamline shapes are reminiscent of a yin and yang relationship while at the same time more voluminous piece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other pieces, in a panoramic way. It all flows like water. That is how the viewers can almost visualize a stream with running water and at the same time have their visual, sensory, and olfactory senses stimulated. The fountain, which looks utterly tranquil but exudes warmth, is built low to the ground, thus providing an intimate setting in which a communicativ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ly monumental fountains or sculptural fountains that are exaggerated in size and shapes, Oh Kwang-Seop’s fountains call for a complete involvement at both the physical and sensory levels, thereby unreservedly pointing to the true purpose and meaning of public or applied sculpture. He at the same time displays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nature in Korea as well as what water signifies, not to mention the aesthetics of water that one can glean from the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s.

     Like an architectural unit, his sculpture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single pieces and interconnected as a whole. The viewer can almost imagine each step. As one would lay bricks or join wooden pieces, he puts together the stones and the bronze to form a shape and from this is derived an abrupt sculptural creation. On top of an image, another image is introduced that is linked to it, then modified and disguised. An object is conjoined with another object and together they become a new entity. The sculptor incorporates all things. For example, the viewer sees an insect as a dish juggler and from the body of a queen ant, a slide comes out, then a bell is overlapped with a human head that has a woodwind instrument as ear and a whistle as lips. On an antique iron is a figure that is a mixed amalgamation of a man and animal riding on a dog. All these entities — such as those intermixed with insects and humans, things, and objects — are one big realm where there is a mingling together in a borderless state of a completely cozy and dizzying domain of human beings and nature, human beings and animals, and insects and objects. That is to say, it is a world filled with beings that are half-human and half-insect—personified life beings. It is an act of puncturing a hole in an airtight system, to allow a breathing space where imagination can flourish, as well as a gesture of defiance against fixed external forms. It is, so to speak, an animist and spiritual gaze that the sculptor is engaging us in. It is, also, an experience of discovering yet another self within himself. All the life beings and sceneries that the sculptor has encountered in his childhood have transcended time and space to metamorphose themselves, and exist alongside the objects of the present time. Oh Kwang-Seop presents them by way of his imaginative means. He sees things in life, and imagines. And he dreams. What he has observed freely and caught glimpses of in his daily life, he brings them to life through his given material. They are familiar, yet a little strange. The viewer is startled because of his emphasis on the unfamiliarity of what is familiar, and the method by which he makes one realize that strangeness. His sculpture compels the viewer to discover an unknown element in something that is seemingly obvious and therefore one is prone to experience a little bit of anxiety. All his sculptures, which are made from casting wax, are the results of his ordinary experiences, his memories, his observations and feelings, and inspirations he got from the actual objects, as well as the imagination derived from them. He solidified the power of his imagination with concrete material. He gleans his true self solely from himself. In the material, he sees only the material itself. What he has not encountered and what he does not know have no place in his art; he does not produce work that is outside of what he has comprehended through his hours of labor. This kind of approach to sculpture, and the method of work are rather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sculpture. In a world rampant with tepid dedication to hackneyed subject matters, bizarre sculpture derived from limited imaginations, ruthless oppression of the sculptural material, and vaguely compromised abstract sculptures, Oh Kwang-Seop’s method of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his images into form, visible approaches, and sensibility strike the viewer as quite novel and exceptional. Furthermore, his work is about dismantling the border between the practical versus the aesthetical, applied art versus fine art, and object versus sculpture. In fact, he envisions a reality in which the dichotomous realms merge into one. That is why his art is about being seen and being used.

보이는 조각, 쓰이는 조각
2009년 9월
박영택 (경기대 교수, 미술평론가)


조각이 다루는 물질은 부정 할 수 없이 실존하는 사물이자 나를 둘러싼 세계이다. 그것은 완강하고 단단한 구조와 결정을 가지고 있다. 개별적인 사물들은 저마다의 물리적인 속성을 자기 정체성으로, 본성으로 지니고 있다고 말해야 한다. 그러니까 조각은 이미지 제작 행위 이전에 사물의 물리적 속성을 헤아리고 그 본성을 깨닫는 일이다. 재료와의 일체를 꿈꾸는 것, 그것과의 소통과 융합을 갈망하는 일, 또는 그 사물 속으로 스스럼없이 스며들어가는 일이다. 물질의 본성, 한 존재를 온전히 깨닫는 일이라고 할까, 아니면 그 재료와 하나가 되는 지점으로 부단히 육박해 나간다고나 할까.

조각가란 존재는 자기 앞에 놓인 물질/ 사물과 함께 사는 이들이자 그것으로 꿈꾸는 이들이다. 물질을 유심히 들여다보면서 그 물질에 말을 건네거나, 물질 스스로 발화하도록 도와주는가 하면 외면에 감춰졌던 본 모습 같은 것을 드러낸다. 결정적인 순간 그것을 추출해 내는 일이자 그 사물, 물질에서 얼핏 보았던 모습을 얹혀준다. 그것은 진정으로 나 이외의 또 다른 존재, 타자를, 세계를 알고자 하는 일이고 이해하는 일이자 인정하는 일이다. 오광섭은 그런 기반 위에, 조각적 재료의 본성 위에 그것과 융합되는 어떤 상을 돌탑처럼 쌓아나간다. 그는 작은 돌들을 하나씩 올려놓으면서 탑의 형상으로 자연스레 나아가듯이 작업한다. 애초에 탑의 모양을 의식했다기 보다는 돌을 쌓으면서 생각도 올려놓고, 이런저런 상념이 체적화 되면서 자연스레 어떤 꼴로 나가는 것을 허용하듯이 말이다. 그래서 그의 작업은 단위들이 집적되고 연결되어 구축 되어나가는 이른바 ‘플러스’조각이다. 이 생각 위에 또 다른 생각, 그 상념 옆에 다른 상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상상과 몽상의 조각들이 편집되고 ‘몽타주’된다. 작가는 물질을 어루만지면서 그 순간순간 지속해서 연상 작용과 상상의 허용을 수용하며, 그것들이 모여 증식되고 마냥 부풀려 나가는 어떤 과정을 따라간다. 의식과 무의식의 물줄기가 한 도랑에서 흐른다. 의식과 무의식이 교차하고 현재와 과거의 시간이 공존하며 과거의 추억과 현재의 감정이, 모든 생명체와 사물이 경계없이 넘나든다. 그것은 기존에 존재하는 세계와는 다른 세계의 얼굴이다. 현실계이면서 현실계의 틀에서 벗어난 기이한 차원의 세계상이다. 한 얼굴에서 파생된 복수의 얼굴이자 자기 내면이 본 얼굴이 실재하는 상 위로 겹쳐서 겹성으로 소리 지르는 그런 조각이다.

오광섭의 근작을 재료로 구분하면 돌과 브론즈 작업으로 나뉜다. 내용적으로는 이른바 공공미술에 해당하는 분수작업과 일상에서 관찰하고 꿈꾼 이미지작업으로 나뉜다. 그 둘 사이에 걸쳐있는 것은 유년의 추억과 자연이다. 사실 그의 작업은 조각의 양식이나 현대미술의 최근 흐름과 이슈, 새로움의 갈증 등과는 무관해 보인다. 그보다는 재료의 연마, 방법론의 심화, 노동과 정성을 원칙으로 하고 그 위에 자신의 삶, 자기 몸과 의식에서 연유하는 이미지를 기술한다. 이미지는 물질에 깃드는 시간/노동의 누적 아래 구현된다. 시간은 노동의 양에 의해 부피화 되는데 작가는 말하기를 지극한 정성의 시간, 노동이야말로 모든 예술이 우리에게 주는 감동의 근원이라고 한다. 조각가의 고된 노동과 그 노동의 양/시간의 무게와 그로 인한 체취가 맡아지면서 그것들이 서사와 볼거리를 안겨주는 이 조각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일상에서 발견한 내용이자 자신의 유년의 추억, 자연과 함께 했던 데서 퍼 올린 기억과 영감들이다. 특히나 작업의 원천은 유년시절 자연에 대한 추억과 관련이 깊어 보인다. 그 당시 자연에서 받았던 인상, 감동의 조각화에 해당하는 작업은 이른바 기억/추억의 오랜 퇴적층을 발굴하는 작업인 셈이다. 따라서 자연 속에서 지낼 수 있었던 그 시절의 시간은 이 작가에게는 은총 같은 경험이었을 것이다. 사실 유년은 모든 이의 왕국인 셈이다.

돌로 만들어진 두 개의 커다란 분수는 상당히 정밀하게 구축되어 있다. 돌의 풍성한 매스를 유지하면서 그것들이 정교하게 맞물려 복잡한 구성을 선보인다. 흡사 건축물 모형을 보는 듯하다.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각 조각들을 마치 전통적인 목조건물이나 가구에서 엿보는 이른바 바시미 구조처럼 물려놓아 연결시켰다. 부드러운 이 유선형의 형태들은 음양구조를 연상시키면서 결합되어 있고 동시에 볼륨을 지닌 덩어리 자체들이 또 다른 덩어리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풍경처럼 펼쳐진다. 물처럼 흐른다. 그래서 흡사 시냇물이 졸졸 흐르는 자연의 실제 풍경을 자연스레 연상시켜주는가 하면 시각과 청각, 촉각을 자극하면서 몸의 오감을 흡입해낸다. 지극히 편안하고 인간적인, 일상적 삶의 공간인 바닥에 납작하게 밀착된 분수는 사람과의 친연성을 유지하면서 대등한 관계를 설정한다. 기존의 분수/ 분수조각이 보여주는 상투형의 모뉴멘탈한 과장을 지우고 보는 이의 육체와 감각기관 전체와 관여하면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공공미술 내지 실용조각의 한 지점을 날카롭게 드러내고 있다. 동시에 한국 자연의 특질과 한국 문화 속에서의 물의 의미, 그리고 전통적인 산수화에서 엿보이는 물의 미학 등도 새삼 상기시켜 부풀려낸다.

그의 조각은 건축물처럼 하나하나의 단위, 유닛들이 맞물리고 얹혀지면서 총체적인 형상을 만들어나간다. 그 과정이 하나씩 눈에 밟히는 편이다. 벽돌과 목재를 연결하고 봉합하듯이 돌과 브론즈 조각들을 연결해나가면서 형태를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져 나가는 형태 속에 느닷없는 낯선 상황이 덧붙여놓는다. 하나의 이미지에 또 다른 이미지가 개입하고 잇대어 붙여지면서 변질시키거나 위장한다. 한 개의 사물에 또 다른 사물들이 병치되어 또 다른 존재로 합성된다. 그는 사물에 기생한다. 예를 들어 곤충이 접시돌리기를 하고 있고 여왕개미의 몸통에서 미끄럼틀이 나오고 종鐘의 형상에 두상이 겹치고 그 양 귀에는 목관악기와 입술(휘파람), 고동이 달려있는 식이다. 개를 탄, 짐승과 사람이 얼굴이 구분없이 섞인 존재가 오래된 골동 다리미 위에 올라가 있다. 곤충과 사람이 섞인 형상이고 사물과 오브제를 비롯 모든 존재들이 마구 엉킨 이 풍경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동물, 곤충 그리고 사물이 경계없이 뒤섞인, 아늑하고 현기증 나는 그런 경지다. 그것은 반인반수, 반은 사람이고 반은 곤충이자 의인화된 생명체들로 가득하다. 이는 세계의 완강한 구조에 구멍을 내는 일이고 상상력으로 숨통을 틔우는 일이자 외형적으로 고정된 상에 현혹되지 않으려는 제스처다. 이른바 물활론적 사유이고 정령적인 시선이다. 이는 자기 속의 또 다른 자기를 발견하는 체험이기도 하다. 동시에 유년시절 보았던 모든 자연계의 풍경과 생명체들이 시공을 초월해 자리바꿈을 하고 변신을 거듭하면서 현재의 시간 위에 존재하는 사물과 상황에 달라붙는다. 작가는 그것들을, 그 조각들을 자신의 상상의 흐름 위에 태워 보낸다. 그는 사물을 보고 상상을 한다. 꿈을 꾼다.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관찰하고 엿본 장면이 물질들과 함께 환생하는 것이다. 익숙하면서도 조금은 낯설다. 낯익은 것이 가지는 이질성을 강조하여 놀라는 동시에 깨닫게 하는 방법이 낯설게 하기다. 당연히 알고 있다고 생각한 것에서 숨겨져 있는 미지적 요소를 발견하고 그 순간 느끼게 되는 불안감을 경험하게 하는 것, 그의 조각이다. 왁스 주물로 제작된 모든 조각들은 그렇게 일상에서의 경험, 자신이 추억, 세계의 관찰과 느낌, 그리고 실제 사물에서 얻은 영감의 소산이자 그것에서 길어 올린 상상력에 기인한다. 그는 자신의 상상력을 물질로 응고시켰다. 그는 오로지 자신 속에서 자신을 본다. 물질 속에서 물질을 본다. 자기가 대면한 것 이외의 것에서, 알지 못하는 것에서, 노동의 시간으로 체득한 것 밖에서 작업을 끌어내지 않으려 한다. 이 같은 조각/작업방식은 한국 현대조각사에서 좀 이례적인 경우로 보인다. 관습적인 소재의 공들인 연마나 협소한 상상력에 기인한 괴이한 조각, 조각의 물성 자체를 가혹하게 눌려놓거나 애매한 절충주의적 추상조각이 횡행하는 상황에서 오광섭의 제작 방식과 이미지전개, 보여 지는 방식과 감상의 제공 모두가 색다르고 이례적이다. 또한 그의 조각은 실용성과 심미성, 생활용품과 예술, 오브제와 조각의 경계를 지워나가는 일이기도 하다. 아니 그 둘이 서로 녹아드는 경지를 꿈꾼다. 그래서 그의 조각은 보여 지는 것이자 쓰여지는 것이다.

Using Format